[디지털 마케터 취업 준비] 도와세움 디마에 74기 - 오느른~ 이론 파티
오늘도 오모의 인생일기를 시작해볼
아니 이정도면 오모의 취준일기라고 블로그 이름을 바꾸는게 맞지 않을까?

오늘은 옛날 스타일로 이론 여러개를 한번도 올려보도록 하겠당ㅎㅎ
가보자고
엑셀 기초
f5 단축키 + 이름상자
이름을 붙이고 싶은 영역을 드래그하고 수식의 선택영역에사 만들기를 클릭하면, 이름상자에 이름을 일일이 붙이지 않아도 설정한 조건에 따라 이름을 붙여준다.
위의 사진과 같이 첫 행과 왼쪽 열을 기준으로 이름을 설정하면, f5로 첫 행과 왼쪽 열에 있는 셀 중 참조에다 셀값을 적으면 해당 셀이 포함된 행이나 열 기준으로 선택된다.
1. F2 단축키
마우스를 쓰지 않고 데이터를 바로 입력할 수 있게 만드는 단축키(커서를 셀 안으로 넣는)
enter → 셀 아래로 선택
shift + enter → 셀 위로 선택
tab → 셀 오른쪽으로 선택
shift + tab → 셀 왼쪽으로 선택
혹은, f2 한번 더 누르고 방향키 사용하여 움직임
2. 키보드로 데이터 드래그 하기
ctrl 방향키 원리
- 데이터가 존재하는 곳까지 이동(존재하지 않으면 끝까지 이동)
- 연결되어있는 데이터의 끝까지 감
shift 방향키
- 셀을 선택하는 키
Ctrl +backspace
- 내가 클릭한 지점으로 넘어가는 단축키
- 내가 수식에 작성하기 위해 셀을 드래그하여 선택하였을 때, 작성되고있는 셀이 보이게 돌아가는 단축키
ctrl + a(수식 ‘=’ 안에서는 못 씀)
- 연결되어 있는 데이터를 전부 선택해주는 단축키
ctrl + space, shift + space
- 선택된 셀에 해당하는 열 선택, 선택된 셀에 해당하는 셀 선택
ctrl + d / ctrl + r
- 선택한 셀 위의 서식 및 데이터를 복제, 선택한 셀 왼쪽의 서식과 데이터를 복제
💡TIP ) 피벗테이블은 세로 데이터로만 만들 수 있음
가로로 데이터를 보내주는 광고주들이 있음 → 세로로 변경하여 사용
표를 드래그해서 붙여넣을 때, 화살표 있는 붙여넣기 옵션 사용
Ctrl + e (2019 버전 이상에서만 가능)
- 연결되어있는 데이터에서만 사용 가능
아이디 추출 → 규칙을 가진 데이터의 앞에 있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추출하고 싶은 부분 드래그하여 ctrl + e
Ctrl + y
- ctrl + z 와 반대되는 기능, 앞으로 돌아오는 기능
⭐⭐⭐Ctrl + 1⭐⭐⭐
- 셀 서식 창 여는 단축키
Ctrl + page up/down
- 시트 이동 단축키(노트북으로 할 때는 shift나 pn 같이 누르면서 하면 됨)
Ctrl + 1 → ‘맞춤의 선택 영역의 가운데로’ 설정
- 병합한 셀은 하나로 선택됨
- 셀이 하나씩 선택되어, 추가로 텍스트 작성 가능
- 실무자들은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 잘 안 쓴다.
앱마케팅
[데이터 보는 관점]
LTV관점: Life Time Value
- 유저가 앱을 처음 실행한 시점부터 기간에 관계없이 모든 이벤트를 확인하는 방법
- 앱스플라이어 개요 탭의 모든 데이터는 LTV 데이터
Activitiy
- 설치한 시점과 관계없이 특정 기간의 모든 이벤트를 확인하는 방법
[앱스플라이어 사용]
개요탭:
LTV 방식으로 측정된 대시보드 → 확인하고자 하는 데이터 기간을 러프하게 잡을 수 있음
어트리뷰션, 로열 유저, 수익 데이터 등을 미디어소스(매체)별로 자료를 시각화하여 보여줌
이 테이블이 개요 대시보드에서 가장 중요한 테이블 → 매체별 성과/이벤트 데이터 한 눈에 확인 가능
- 리인게이지먼드 - 집행한 광고를 통해 앱을 실행한 유저
- 리어트리뷰션 - 앱을 설치하고 다시 삭제한 유저가 광고를 통해 재설치
이벤트탭:
개요탭 보다 구체적인 이벤트 데이터 확보 가능
광고를 집행할 매체별로 이벤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음
액티비티탭:
액티비티 방법으로 데이터가 측정된 탭 → 설정한 기간 동안 확보한 데이터 확인 가능
보통 60일 정도까지 밖에 설정이 안됨
DAU: 하루 활성 사용자 수
MAU: 평균 한달 활성 사용자 수
인스톨 데이터: 논오가닉(광고 통해 설치) / 오가닉(자연적으로 검색 설치)
세션: 논오가닉 / 오가닉
- 이벤트를 발생시켜야 측정되는 GA와 조금 다르게, 앱을 실행하기만 하면 세션이라는 데이터로 측정됨
- 처음에 실행했을 때는 인스톨로 잡히고 그 다음부터는 세션으로 잡힘
총 매출: 논오가닉 / 오가닉
해당하는 미디어 소스별로 확인 가능
액티비티 횟수: 이벤트를 발생시킨 횟수
잔존율탭(retention):
앱 설치 후 실제로 사용한 사용자의 비율을 경과일에 따라 측정
SKANetwork탭(⇒ 스캇 혹은 스킨이라고도 함)
SKAdNetwork와 연동됨
SKAdNetwork이란?
아이폰 유저 중 개인정보 활용 동의를 하지 않으면, 데이터 측정이 안됨.
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개인정보 측정 거부 아이폰 유저의 행동 데이터를 추적하기 위해 새로 출시한 Apple의 신규 플랫폼이 SKAdNetwork
24시간 안에 회원가입 후 다른 행동을 진행한다면 (ex.구매), 최종 전환 데이터는 구매로 측정됨
그런데 이벤트 항목을 두번째 구매까지 설정해두었다면, 추가적인 행동에 대해 (구매 이후 또 두번째 구매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에 타이머 24시간이 또 돌아감) 타이머가 돌아가며 최종 발생 이벤트를 또 기다려야하기 때문에 포스트백을 하는 시간이 늘어남
따라서 SKAdNetwork를 사용할 떄 이벤트를 많이 설정하는 것은 데이터 측정 연기에 영향을 미침
→ 핵심 전환으로 생각하는 이벤트 데이터 3개 정도만 설정하는 것이 좋음
[앱스플라이어 앱 등록하여 사용하기]
1. 앱스플라이어 앱 등록하기
광고주의 어플리케이션이 입점된 플랫폼 선택
앱 내에서 구매 가능: 바로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상황
승인 대기 중: 스토어에 입점 신청 해놨는데 대기 중인 상황
스토어 밖에 게시됨: 다른 스토어에 등록이 되어 있는 상황(ex. 원스토어)
- 보통은 입점된 상태에서 광고를 맡김
URL란: 앱을 설치할 수 있는 페이지의 url 등록
통화/시간대만 설정해주면 됨
2 매체와 연동하기
- non-SRN 매체 연동
파트너 활성화를 켜고, SDK를 retargeting 코드에 넣기
연동할 매체의 이벤트 포스트백 기간/종류 설정
연동할 매체에서 사용하는 이벤트와 앱스플라이어의 이벤트 이름을 매핑 시킴
non-SRN의 경우 어트리뷰션 링크 넣기 → 원링크 사용하면 더 효율이 좋음
클릭 어트리뷰션: 유저가 광고를 클릭하고 나서 며칠 이내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지에 대한 데이터 기간을 얼마로 잡을 건지에 대한 날짜를 설정
뷰-쓰루 어트리뷰션: 노출된 광고를 나중에 스토어에 검색해서 들어가서 설치하면 성과 데이터로 측정하겠다는 것
- SRN 매체와 연동
개발자에게 부탁하여 SRN 매체 앱 id & install Referrer Decryption Key 를 전달받기
- 리인스톨 어트리뷰션: 삭제했던 유저가 재설치했을 때 데이터 측정
- 리인게이지먼트 어트리뷰선: 장시간 사용하지 않았던 유저가 재실행했을 때 데이터 측정
- 리인게이지먼트 윈도우: 재실행 뿐만 아닌 다양한 이벤트 값에 대한 시간을 정해주는 것
- 리타겟팅 대상으로 활성 유저 무시: 앱을 미사용했던 기간을 설정하여 해당 기간 내에 사용한 유저는 리타겟팅 타겟으로 제외시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