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디지털 마케터 취업 준비] 도와세움 디마에 74기 - 콘텐츠 마케터 희망하면 드루와

2024. 11. 16. 09:37카테고리 없음


관여도에 따른 마케팅 전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.


저관여 이성상품



1. 체험단:
신제품이 출시 되었을 때 제품 인지시키기 좋은 방법


체험단 제목으로 사용할 키워드:

  • 연관검색어를 통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음(실시간 반영)
  • 검색광고에서도 소재 키워드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음 → 월간 검색 수를 보는 것이 좋음(실시간으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, 지금 당장 노출이 될 수 있는 키워드를 뽑아낼 수 있기 때문
  • 정보의 종류에 따라 고객들이 접속하는 디바이스가 다르기 때문에 PC/모바일 검색 수를 구분하여 확인 → PC와 모바일의 운영체제가  다르기 때문에, 노출되는 순위가 다를 수 있음


체험단 제목은 주요 키워드를 한 두 개 선정하여 게시글이 노출될 수 있도록 유도

  • 생생한 후기를 전달하여 신뢰도를 높여야 하기 때문(광고 느낌 덜나게)
  • 네이버의 알고리즘 때문 네이버는 검색 광고 포털로, 콘텐츠의 질이 높은 것을 상위 노출 시켜 많은 사람들이 유입돼 광고를 클릭하게 하는 것으로 수익이 남


[체험단 대신 운영해주는 기업(기획서랑 내용 확인 제외하고) 추천]
레뷰:
잘 함, 좋은 블로거 많음, 체험단 규모가 너무 작으면 잘 안 받아주는 경우도 있음
리뷰플레이스
공팔리터

[돈 없어서 직접 운영해야 할 때는?]
블덱스: 블로그 품질지수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, 파란색 게이지 안에만 들어가도 괜찮은 듯

저관여 감성상품


고려/탐색 단계에서는,
구매 여정 시간이 얼마 걸리지 않기 때문에
우리 제품을 간접 경험 시켜줄 수 있는 콘텐츠를 많이 발행하는 것이 좋다.

사용자가 얻을 수 있는 편의성 및 기대 효과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콘텐츠가 중요하다.

[블로그]

1. 채널아트 영역
전체적인 블로그의 분위기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부분

2. 블로그 위젯 기능
소비자들의 클릭을 단순화 시킬 수 있음

3. 썸네일
클릭을 부르는 썸네일 및 제목을 사용

  • 한 브랜드 내의 콘텐츠를 구성할 때 내용이 다르더라도 일관된 느낌이 나면 좋음


4. 하단 위젯기능
시각적으로 직관적으로 제작

5. 내용
서브 페르소나를 설정하여 대화하는 느낌을 냄

  • 너무 광고성 홍보글만 작성하면 재미가 없고 부담스럽기 때문에, 소비자들의 흥미를 다양하게 일으킬 수 있는 소재를 작성하는 것도 좋음


[키워드]

  • 키워드마스터를 사용하여 하단의 3가지를 적절히 확인하여 내 블로그에 맞는 키워드를 사용
  • 조회수가 많은데 문서 수가 많은 거면 좋은 키워드가 아닐 수도 있음
  • 한 두개의 키워드 사용 추천


[유튜브]

  • 유튜브는 썸네일로 유입되는 경향이 훨씬 큼 → 클릭을 유발하는 썸네일 사용 필요
  • 넷플릭스의 경우, 타겟에 따라 썸네일을 여러 개 만들고 노출시킨 다음 가장 반응이 좋은 썸네일을 메인으로 내세움
  • 숏폼(숏츠)의 경우, 60~10분 내외의 러닝타임, 부담이 없고, 모방/참여 욕구를 불러일으킴


[카드뉴스]

고객의 행동을 유발하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중요
- 숫자를 활용할 때는 구체적인 숫자 활용
- 내용 작성 후 검수 프로그램 돌리기

언드미디어 → 바이럴 마케팅의 일환

[인플루언서 후기]
상품과 적합한 유명 인플루언서의 상품 후기는 페이드 미디어를 능가할 수 있음

[체험단]
온드 미디어 채널의 볼륨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
작은 볼륨의 자사 계정으로 운영할 경우, 효과가 없을 가능성이 높음

체험단 후기 콘텐츠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키워드/필수 메시지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한다.

  • 제품이 법적 제제가 가해질 수 있는 경우, 최대한으로 가이딩해야 함(건기식, 의료기기 등)
  • 가이드에 들어가는 이미지는 최대한 고화질로 전달하기 위해 알집으로 묶어서 전달


[블로그 후기]
최대한 상위 노출이 많이 되게 하여 버즈량의 수치를 많이 확보하는 것이 중요

페이드 미디어

[인플루언서 광고]
선정된 인플루언서에 따라 브랜드의 의도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음

  • 우리 제품이 어떻게 보이고 싶은지에 대한 의도를 먼저 정하고, 인플루언서를 정해야함
  • 인플루언서의 성장 계기는 소통이었기 때문에, 최근에는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에게 이목을 집중
  • 요즘에는 팔로워보다 조회수를 기준으로 인플루언서를 확인


인플루언서 선정 순서 → 사전 기획이 무조건 먼저

1. 핵심 성과 지표(KPI), 타깃, 예산 설정
2. 플랫폼 선정 및 캠페인 일정 설정

  • 타깃에 맞는 플랫폼, 보여주고 싶은 부분에 맞는 플랫폼, 채널 별 인플루언서 특징 고려

3. 콘텐츠, 뷰어 성향 파악
4. 인플루언서 탐색
    1. 발품팔기 - 유광기 체크 등
    2. MCN 선택하기 - 인플루언서들의 소속사에 컨택하기(샌드박스 등)
        1. 1~3을 제안하고 인플루언서 추천해달라고 하기
        2. 인플루언서 소개서 달라하고 선택하기
5. 제안서 작성 및 인플루언서 컨택